의병의 날

0
388

6월 1일은 ‘의병의 날’이다. 국가의 위기에 자발적으로 일어선 백성들의 조직을 가리켜 의병이라 한다. 누란지위(累卵之危)의 국가와 민중을 위해 궐기한 의병을 기리는 날이 의병의 날이다. 임진왜란과 구한말에 거병(擧兵)한 의병이 가장 많았다고 역사는 전한다. 의병 하면 암군(暗君) 선조가 때려죽인 김덕령과 수도 진공 작전의 총대장 이인영이 떠오른다.

 

김덕령(1568-1596)은 광주 출신 의병장이다. 그는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24살의 나이에 형과 함께 의병을 일으킨다. 그는 호남과 영남 곳곳에서 왜군을 격파하여 공을 세우지만, 1596년 이몽학의 반란에 연루되었다는 모함을 받는다. 김훈은 <칼의 노래>에서 김덕령이 선조에게 국문(鞫問)을 당한 끝에 장형(杖刑) 130대를 맞고 순절한 장면을 그려낸다.

 

용렬한 선조는 자리를 보존하고자 김덕령을 희생제물로 삼는다. 파스테르나크가 <지바고 의사>에서 그려낸 러시아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와 암군 선조는 닮은 꼴이다. 소심함과 연약함으로 신료들을 처형하고 구속하며 용서하는 전제군주들의 양상은 어찌 그리 똑같은가?! 맨손으로 호랑이를 때려잡았다는 김덕령은 허망하게 세상과 작별한다. 광주의 충장사와 충장로가 그를 기리는 공간이며, 그가 지은 시조 <춘산곡(春山曲)>이 오늘까지 전한다.

 

춘산에 불이 나니 못다 핀 꽃 다 붙는다/ 저 뫼 저 불은 끌 물이나 있거니와/ 이 몸에 내 없은 불이 나니 끌 물 없어 하노라

 

이런 서정과 춘심을 가진 장수 김덕령을 때려죽이고도 오랜 세월 옥좌에 앉아 자리보전한 암군을 찬양하는 일부 사학자들은 광대놀음의 주역이다.

 

이인영(1867-1909)은 색다른 교훈을 주는 인물이다. 1895년 을미사변과 단발령으로 궐기한 그는 1907년 고종의 강제 퇴위와 군대해산으로 일어난 정미의병에 합류한다. 같은 해 11월 전국에서 모여든 13도 창의군 총대장이 된 이인영은 수도 진공 작전을 기획하다 아버지의 죽음을 맞는다. 동료와 부하들의 만류에도 그는 삼년상(三年喪)을 고집하다가 1909년 일본군에 잡혀 경성 감옥에서 생을 마감한다.

 

일본군의 눈에 이인영은 아주 기이한 인물로 보였다. 국가를 위해 일어난 의병 총대장이 삼년상을 위해 자리를 내놓고 돌아갔다는 사실이 낯설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그것은 일본과 청나라에서 강조한 <충경(忠經)> 대신 조선에서는 <효경(孝經)>만 읽게 한 결과였다고 생각한다. 충효가 본디 다르지 않지만, 충의 뿌리를 효에서 본 조선 사대부의 생각이 이인영에서 구현된 것이다.

 

이것은 일본과 청나라가 국가를 최우선으로 생각했다면, 조선 지배층은 가문을 중시(重視)했다는 증거가 아닐 수 없다. 이와 같은 자세는 뿌리 깊게 남아서 우리 사회를 어둡게 한다. 나라의 운명과 민중의 삶이 어찌 되든 나와 집안만 생각하는 자들이 적잖다. 의병의 날을 맞아 가족과 가문만을 생각하는 전근대적 사고에서 벗어나는 계기를 만들었으면 한다.

 

<경북매일신문>, 2022년 5월 30일자 칼럼 ‘파안재에서’

 

의견을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