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불5권: 아소 님아

0
589

아소 님하

( 아아, 님이여. 그러지 마소, 님이여.)

이은주

자시의 하늘 ~ 12. 아아, 무엇하러 달은 저리 밝은가 : 어둠 →빛, 절망 →희망

* 시간적 배경: 섣달 그믐날 ~ 정월 대보름

* 공간적 배경: 매안마을, 고리배미, 거멍굴, 만주 봉천, 서탑거리.

* 등장인물: (이기채,율촌댁,강모,효원,콩심이), (오유끼, 늙은 기생)(수천댁,강태), (우례,봉출,꽃니),(오류골댁,기응,강실), (공배,공배네,춘복)옹구네, (평순네,평순이) (임서방,앵두어미,앵두), (홍술,만동,백단,귀남) (비오리,비오리어미),(사리반댁,강호),이헌의, 이징의, (부잣집주인,외동딸,김씨도령,조씨부인), (청암부인, 부서방), (엄구용,장업,봉곤), (나무꾼 아이, 홀어머니1), (큰스님, 풍수배운 선비, 홀어머니2), (김씨,김씨아들,)

– 팔천: ①노비 려 ③백정 ④무당 ⑤광대 ⑥사공 ⑦기생 ⑧갖바치
– 중로: 의관, 역관, 산관, 향리, 서리, 군교, 행정실무, 기술관

* 하루(24시간), 12간지, 2시간(1시진)

아침, 저녁 각 1시진, 낮- 다섯 시진, 밤- 다섯 시진

자시(밤 11시~ 1시)삼경 자시생천, 하늘만이 운행

축시(밤 1시~ 3시)- 사경축시생지, 땅이 모습을 드러냄

③ 인시(밤 3시~ 5시)- 오경- 인기인, 사람들이 일어남.

④ 묘시(아침 5시~ 7시)

⑤ 진시(낮 7시~ 9시)

⑥ 사시(낮 9시~ 11시)

⑦ 오시(낮 11시~ 1시)

⑧ 미시(낮 1시~ 3시)

⑨ 신시(낮 3시~ 5시)

⑩ 유시(저녁 5시~ 7시)

술시(밤 7시~ 9시)- 초경

⑫ 해시(밤 9시~ 11시)- 이경

* 해(양)- 모양 그대로

* 달(음)- 모양 변화: 초승달(1일,초하루)→반달(상현달,초여드레,조금) →보름달(15) → 반달(하현달, 스무사흗날, 조금)→ 그믐달(30일, 그믐, 사리)

달빛 변화 ①봄밤 여름밤 ③가을밤, ④겨울밤
– 조수 간만의 차이(조금, 사리)
– 몸의 조수(월경)
– 기도, 소원 빌기

* 자월(섣달) 그믐날 풍습- 묵은 세배, 무우 먹기(무사태평)- 기원
– 정월 초하루 축시: 종들의 세배

* 대보름날 풍습- 달맞이, 더위팔기, 달집태우기, 액막이 연- 기원
– 오류골댁, 기응: 강실이의 재웅을 만들어 붙인 연을 날려 보냄.
– 백단이네의 투장: 청암부인의 묘에 시부 홍술의 뼈를 몰래 묻음.
– 춘복이의 흡월: 양반의 자식을 낳기 위해 강실이를 범하려고 함.

* 욕망, 소망
– 혼이 나간 강실, 죽은 청암부인 등 가장 약한 부분을 파고 들어 장래(아들), 신분 탈출(상승)을 꿈꾸는 백단이네춘복.
– 만주로 이주해 힘겹게 살아온 김씨와 부잣집 궁도령 강모, 두 사 람을 경멸하며 가진 자의 논리를 착취라고 말하는 강태.
– 춘복이의 관심을 갈구, 강실과 강모의 소문을 퍼뜨리는 옹구네.
– 한일 합방 후 만주 봉천에 목수 아버지 따라 왔다가 고생 끝에 작은 가게를 하면서 강태의 힘을 빌려 가게를 키우려 하는 김씨
– 강실이를 시집보내려고 여러 가지 혼수를 장만하는 오류골댁

* 춘궁기- 일제의 착취로 식량 절대 부족
– 쑥 : 여러 가지 곡식과 섞어 음식으로 만들어 먹음 , 모깃불
– 송기: 소나무 껍질 속 흰 부분, 많이 먹으면 변비(똥구멍이 찢어짐)
– 쌀: 금과 같이 귀함. 장정 하루 품삯- 쌀 1되

* 매안향약

– 마을의 법 : 장남 우대-제사
– 덕석말이 : 장업, 벼슬을 삼, 양반 흉내를 내어 노여움을 삼.


안녕하세요. 사단법인 인문연구원의 웹진 동고송입니다.

의견을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