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한봉 선생 12주기 추모식을 다녀와서

1
650

 

살아 있는 윤한봉 선생님을 만날 수 있던 값진 경험

윤지선(이제 막 대학을 떠난 새내기 사회인)

 

지금까지 만나온 대부분의 어른들은 자신을 높이고자 했다. 하지만 합수 윤한봉 선생 12주기 추모식 및 역사 기행을 하며 만난 대부분의 어른들은 자신을 낮추고자 했다. 이는 청년인 내게 적잖은 충격이었다. 이번 역사 기행에서 만난 대부분의 어른들은 공통의 가치 체계를 공유하는 듯했다.

탈 권위, 개방, 절제와 헌신.

그것은 바로 합수 윤한봉 선생님의 정신이었다. 나는 살아생전 한 번도 윤한봉 선생님을 뵌 적도 없고 심지어 불과 몇 년 전까지 그의 존재 자체도 모르고 지냈다. 내게 윤한봉 선생님은 책 속에서 만난 민족적 영웅이었다. 그의 삶의 과정은 내게는 무척이나 비현실적인,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하나의 신화처럼 여겨졌다. 그러나 이번 12주기 추모식, 그리고 역사 기행에서 만난 어른들을 보며 윤한봉 선생님의 정신이 살아 숨 쉬고 있으며 여전히 많은 이에게 엄청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자신은 아무것도 아니라며 한 없이 스스로를 낮추며 민망한 듯 웃으시던 분의 입가에서, 역사 왜곡과 은폐가 난무하는 현실을 통탄하며 소리치시던 분의 눈빛에서, 합수 선생님을 기리며 노래를 부르던 분의 목소리에서, 함께 나눠먹고자 그 많은 양의 음식을 해 오신 분의 손에서, 젊은이에게 이불을 양보하고는 차디찬 바닥에서 주무시던 분의 발에서, 나는 윤한봉 선생님의 정신을 보았다.

더 이상 내게 윤한봉 선생님의 정신과 삶의 방식은 비현실적인 무언가가 아니었다. 합수 선생님은 여전히 그를 기억하고 따르고자 하는 후배들의 마음 속에서 순박하고 해맑은 미소를 지으며 살아 숨 쉬고 계셨다.

이번 합수 윤한봉 선생 12주기 추모식 및 역사 기행을 통해 천 오백년 고도 나주의 역사를 둘러보기도 하고, 맛있는 전라도의 음식을 즐기기도 하고, 흥이 넘치는 공연을 보며 신나기도 하였지만 그 무엇보다 좋았던 경험은, 합수 윤한봉 선생님을 간접적으로나마 만난 그 순간순간이다. 윤한봉 선생님의 삶과 정신을 기리는 본 사업회의 행사가 꾸준히 지속되어 전국 각지의 사람들이 그의 이름 석자를 알게 되고 그를 기리는 날이 오기를 바라본다.

2019년 6월 26일 씀.

 

안녕하세요. 사단법인 인문연구원의 웹진 동고송입니다.

1개의 댓글

  1. 자신에 대하여 매우 엄격하게 하면서 동시에 다른 분에게도 혁명전사로서 살아가기를 원하시기에 자칫 타인에 대한 이해와 관대함에 있어서 인색하다는 평가도 일부로 받고 있습니다. 인간이기에 갖는 약점도 윤한봉선생님이 지니고 있어 오히려 저는 그 부분을 주변 분들에게 조심스럽게 이야기를 나누기도 합니다. 윤지선님의 합수기행에 많은 공감을 하면서 요즘엔 선비처럼 잘못된 인사들에 대하여 엄격한 질책도 필요하여 윤한봉선생의 그 역할이 매우 아쉽네요.

의견을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