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불, 모르는 낱말
어른들이 그러니 아이들까지도 덩달아 고샅을 뛰어다니며
신이 나서 연방 무어라고 재재거렸다.
그리고 가까운 촌수의 동서 숙질(叔姪)의 부인들은
아예 며칠 전부터 올라가 있기도 하였다.
13쪽
- 고샅; 마을의 좁은 길목, 또는 좁은 골짜기의 사이. 고샅은 본디 ‘좁은 골짜기’를 뜻하는 말이다.
- 전유어:유아, 전 등으로 부르고 궁중에서 전유화(煎油花)라고도 하였다.
- 시룻번; 시루를 앉힐 때에 솥과 고리의 이음새 사이로 김이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멥쌀가루나 밀가루를 반죽하여 바른 것으로 술을 빚거나 떡을 찔 때에 많이 사용한다.
- 밀화; 밀화노리개는 호박(琥珀) 종류의 보석으로 장식한 것이다
- 좀생이
1. 좀스러운 사람. 또는 자질구레한 물건.
2. ‘묘성’(昴星)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밝은 별이 많으며, 육안으로도 6개의 별을 비교적 쉽게 볼 수 있다. 지름120′, 거리 408 광년. 별의 수 약 120개, 밝은 별 주위에 반사성운이 보인다. 플레이아데스성단. 플레이아데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7자매.
여느 소설과 달리, 단어 하나 어구 하나를 읽기도 버거울 때가 많습니다.
국어사전을 찾아봐도 없는 말들은, 문맥을 따라 추측해봐도 잘 안 풀리는 말들은 어찌해야 할 지.
그럼에도
혼불의 ‘언어’에 주목하며 읽는 것도 솔찬~한 읽기가 아니까, 합니다.
마침 구했습니다.
시중에는 잘 안 보이는 책인데,
장일구, <혼불의 언어_살아 숨쉬는 모국어의 바다 혼불읽기 사전>, 한길사
읽다가 모르는 단어나 구절 있으면
언제든 문의해 주십시오.